전시 딜 내재화 프로젝트 회고: MongoDB 기반 데이터 구축과 API 개선 과정
java , ApacheKafka , spring-batch , MongoDB
안녕하세요, 11번가 전시서비스개발팀의 서장원입니다.
전시 딜 내재화 업무를 맡아 진행했던 과정과 개선 작업이 갖는 의미에 대한 개인적인 회고를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내용 이해를 돕기위해, 기초적인 질문을 던져봅니다.
- ‘딜’ 그리고 ‘내재화’ 라는게 무슨 뜻인가요?
- 딜은 상품 판매를 위한 판촉행사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예를 들어, 단 10일간! 사과 한 박스에 단돈 3만원! - 내재화는 외부 기술/데이터를 가져와서
우리만의 특성에 맞게 조정하고 직접 관리한다는 뜻입니다.
즉, 상품의 판촉행사 정보를 보여주는 영역에 필요한 정보는 우리 전시서비스개발팀에서 직접 구축하고 입맛에 맞게 최적화 시킨다는 뜻입니다.
- 딜은 상품 판매를 위한 판촉행사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
왜 내재화 하나요?
내재화하는 이유는 간단히 말해, 전시에 사용하는 딜 정보를 최적화 시켜서 더 쉽고 빠르게 유지 보수 하기 위함입니다.
아래 이미지에서처럼 이미 THOR 플랫폼 에서 전시에 사용하는 상품정보는 내재화(with MongoDB)가 완료된 상태였고
딜 정보(=행사정보)는 내재화하기 전 반정규화 테이블(with OracleDB)을 사용하고있는 상태입니다.
다시 말해, [행사 판매 중인 상품] 정보를 가져오기 위해 상품정보는 MongoDB에서,
딜정보는 Oracle에서 조회하여 조합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조회방식은 아래와 같은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 매 호출마다 두 번, 서로 다른 DB에 커넥션을 받아야 하는 낭비
- 개발이나 이슈 발생 시 딜정보인지 상품정보인지에 구분하여 디버깅 필요(관리 포인트 중복)
- 전시서비스개발팀에서 즉각 대응/수정 가능한 상품정보와 달리,
딜정보는 OracleDB 관리 팀에 요청하는 프로세스로 개발과정 단위 테스트와 즉각적인 대응에 어려움
이를 반정규화 MongoDB로 전환하면 위의 단점을 극복하고 MongoDB의 장점을 그대로 살릴 수 있습니다.
- 탈 오라클(비용 절감, DB 분리에 및 종속성 제거)
- 유연한 스키마로 구조 변경에 용이하여 개발 단위 테스트 및 개발속도 향상(OracleDB 변경 요청 프로세스가 사라짐)
- 수평 확장이 용이해져 대량트래픽 대응 비용 감소
이러한 이유로 OracleDB 반정규화 테이블은 MongoDB 반정규화 테이블로 전환하게 되었고
THOR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이번에 딜 내재화를 이어 맡아서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 THOR 플랫폼 이란?
다양한 요구사항들에 기민한 대응을 위해 전시서비스 개발팀에 필요한 정보만을
직접 구축하고 운용하는 MongoDB 기반 전시서비스 데이터 플랫폼.
기존에는 반정규화된 PL/SQL 기반 Oracle Serving 테이블을 참조하였지만
전시상품 수 증가, 업무로직 복잡성 증가로 인한 PL/SQL 의 한계, PL/SQL의 유지보수에 들어가는 리소스의 증가에
기민한 대응을 위해 만들어진 전시데이터 플랫폼입니다
이제 기본적인 궁금한 것도 알았고 왜 하는 건지 이해했으니 다음으로 넘어가보겠습니다.
프로젝트 진행 과정
기존 운영 방식의 문제점
MongoDB 상품 정보 + OracleDB 딜 정보를 각각 조회하고 가공하여 전시 API로 응답하는 방식.
- 기존 방식의 구체적인 문제점
- DB 트래픽 낭비 문제
- 한 API 응답에서 두 개의 DB Pool Connection 을 맺는 추가 리소스
- 대량 트래픽 발생시, 오라클 커넥션 풀이 부족한 경우가 발생했고 이는 지연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유지 보수 한계 (이슈 발생시 딜 정보 추적이 어려움)
- 직접 관리하는 테이블이 아니다 보니, Oracle Serving 테이블의 생성 로직과 엮여있는 배치의 프로세스와 주기, 관계 파악 쉽지 않음
- 이슈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Oracle SP의 생성 로직과 갱신 주기 등을 매번 다른 팀에 문의하거나,
MongoDB(상품 정보)와 OracleDB(딜 정보)를 모두 확인해야 합니다.
- DB 트래픽 낭비 문제
→ Oracle Serving 테이블 참조를 제거하고 자체 구축한 MongoDB 컬렉션을 참조하도록 변경필요
지금부터는 좀 더 깊게 생각해봅니다
고려할점들
1. 매우 넓은 영향범위
기존에 딜 정보를 사용하는 API를 전수조사를 해보니 약 60개, 각 API 마다 사용처는 그보다 훨씬 많았습니다.
다행히, 이미 잘 짜여진 구조와 적용된 패턴 덕분에, 일일이 60여개의 API의 코드를 모두 확인해봐야 할 필요는 적었습니다.
대부분의 API에서는 facade의 메서드(findProductsBy)만을 호출하여 필요한 정보를 조회하도록 캡슐화되어 있었고,
factory에서 반환하는 하위 객체 별 조회 동작 구현부만 수정하면 되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앞서 말했듯이, API자체가 많았고 이를 이용하는 사용처가 많다보니 로직상 숨겨진 의도와 데이터변환 조건등을 잘 챙겨야만 했습니다.
API별 실제 사용되는 필드가 다르고 재변환로직이 조금씩 달랐기 때문에 필드 하나하나 신중한 접근이 필요해 보였습니다.
그래서 이를 정확히 검증하기 위해,
최종 작업에서 as-is VS to-be API 간 응답 값을 확인할 수 있는 validation 기능을 가진 프로세스를 추가하여 검증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2. 시시각각 변하는 유기적인 데이터
각 제품마다 딜은 [신청-승인-확정-진행-종료] 형태의 라이프사이클이 존재합니다.
그리고 라이프사이클이 진행되는 동안 딜 데이터는 계속 변하며, 이를 추적하고 빠르게 갱신 해주어야 합니다.
하지만 AS-IS 모델의 Serving 데이터와 TO-BE 모델의 새로 구축한 Serving 데이터가 갱신되는 시점이 서로 다르다보니,
AS-IS와 TO-BE 간에 데이터의 정합성을 비교할 때, 비교하는 시점에 따라 일시적인 다름인지, 잘못된 데이터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합니다.
특정 시점, 예를 들어 15:00:00에 판매 수량 데이터를 확인했을 때,
A 상품은 15건, B 상품은 10건으로 표시되는 상황이라면, 세 가지 가능성을 염두하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 A 상품의 판매 수량 15건은 최신 갱신된 결과이지만, B 상품의 10건은 아직 갱신 이전의 값 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B 상품의 판매 수량이 다음 갱신을 통해 15건으로 변경된다면 TO-BE로의 전환이 잘 되었고 일시적인 다름이었음을 판단 할 수 있습니다. - 반대로, 만약 B 상품의 판매 수량 10건이 갱신 이후의 값이었다면, B상품의 판매 수량 결과값이 잘못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추가로, B의 10건이 정확한 값이었고, 오히려 A값이 잘못 계산되어왔던 것인지 추가로 확인해 볼 수도 있습니다.
예시 이외에도, 각 필드마다 갱신 조건이 있고 어떤 시점에 어떻게 변경될 수 있는지 알아야 검증 과정에서 정상적인 데이터인지 아닌지 판단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딜의 라이프사이클뿐 아니라 상품의 라이프사이클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딜 한정 수량이 품절되어도 상품 수량이 남아있는지 구분하여 전시 노출 해야하는 부분,
전시종료 여부는 딜의 기간종료인지 품절종료인지, 품절은 상품품절인지 딜품절인지를 구분하여 전시 노출 결정을 할지를 명확히 알아야합니다.
이를 위해, 전시 딜의 동작방식을 위한 딜의 라이프사이클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3. 롤백(Rollback)
11번가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할인행사들을 잘 파악하고 행사기간을 이용하여 물품을 구매하고 있습니다.
행사상품정보는 11번가에서 물품을 구매할때 가장 먼저 보는 진입점인 만큼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전환과정에 잘못된 데이터가 노출 되었을때 AS-IS 모듈로 가장 빠르게 롤백 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롤백을 위한 재 배포없이 이전 모듈로 동작 할 수 있는 간편한 방법으로는
DB 테이블에 AS-IS와 TO-BE 모듈의 실행을 분기할수 있는 플래그를 넣어두고 실시간으로 플래그값을 변경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작업 진행
📖작업목록 계획
- ✅ 전시딜 MongoDB 구축
- 수집 속도 개선(=갱신속도 개선)
- 적재대상 딜 대상을 추출 및 Kafka로 메시지 수집 및 MongoDB적재
- ✅ 전시 API MongoDB 컬렉션 참조로 변경
- 롤백 장치 생성(기존 Oracle Serving 테이블 조회)
- Oracle 서빙 테이블과 MongoDB 서빙 컬렉션의 구조 차이로 인한 가공 로직 변경
- ✅ 검증기 구축
- MongoDB 적재 데이터 검증을 위한 Validator 작성
- 영향범위 API 응답값 검증을 위한 Validator 작성
- Oracle 서빙 테이블 vs MongoDB 서빙 컬렉션 조회 정합성 비교 (총 개수, 각 필드 별 값)
- Elasticsearch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이제 열심히 개발을 해봅니다
완성: TO-BE 모델
데이터 구축 (SpringBatch, Kafka, MongoDB)
- 딜 정보 수집대상 추출 및 메시지 발행 배치 생성
- Oracle Serving 테이블 생성 PL/SQL 중, 필요한 딜 정보 생성부분을 분리해내어 추출 배치 생성
- 정각에 정확한 딜정보를 노출해야하는 타임딜은 더 빠른 상품정보 갱신을 위해 타임딜상품 정보 갱신배치 추가 생성하여 정확도를 높임
- 성능 향상을 위해, 데이터가 많은 딜 정보는 별도의 배치를 추가 생성하여 데이터를 추출
- 멀티스레드(thread-pool=5)로 동작하도록 적용하여 빠른 수집이 이루어지도록 작업
- 추출된 딜 정보는 카프카로 메시지 발행하고 ZeroPayload 방식으로 키값만 송신하여 효율을 높임
- Oracle Serving 테이블 생성 PL/SQL 중, 필요한 딜 정보 생성부분을 분리해내어 추출 배치 생성
- 딜정보 가공 및 적재
- 중요한 딜이 덜 중요한 딜정보 메시지에 밀리는 일이 없도록, 배치마다 각각 토픽 나누어 운영하고 메시지를 읽도록 처리
- Lag의 빠른 소진을 위해 데이터가 많은 딜은 멀티스레드로(concurrency=3) Conesume 처리
- API 조회를 더욱 빠르게 처리하기 위한 전략으로, 데이터 구축 과정에서 데이터 가공 로직을 집중적으로 처리
- 데이터가 이미 가공되어 있으므로 API 조회 시에는 복잡한 처리 없이 데이터를 즉시 사용할 수 있음
- 조회에 쓰이는 필드에 맞는 단일, 복합 인덱스 생성
API 적용
- OracleDB 조회는 새로 구축된 MongoDB 레포지토리에서 조회되도록 변경
- MongoDB 조회쿼리 인덱스 활용 조정
- 기존 로직을 담은 AS-IS 소스코드는 유지하고 변경된 TO-BE 조회 로직은 배포없이 빠르게 롤백 가능한 장치 구성
검증기 생성
- 5분, 10분 단위 등으로 설정한 스케줄링 단위시간마다 비교할 검증 데이터를 LogStash에 송신하도록 구성
- ELK 스택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수집 및 파싱 후, 데이터 비교 대시보드 구성
- 1차: MongoDB 신규 컬렉션과 Oracle 기존 테이블 데이터 Validator 생성
- 방식: 총 데이터 수, 데이터의 차집합을 양방향으로 비교, 랜덤하게 뽑은 딜데이터 비교
- 2차: AS-IS API와 TO-BE API 호출 응답값 데이터 Validator 생성
- 실제 호출된 Access Log 패턴별 차이나는 응답필드가 있는 경우만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
물론, 시행착오도 있었다.
1. Embedded Document 미갱신
딜 정보 하위에 임베디드 문서로 상품 정보를 사용했지만,
상품 정보와 딜 정보의 갱신이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딜 정보가 갱신될 때만 하위의 상품 정보를 갱신하는 문제로,
상품 정보의 갱신분이 반영되지 않은 채로 API에서 조회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딜 정보는 분 단위로 갱신되기 때문에 대부분 빠르게 잘 갱신되었지만,
가끔 하위의 상품 정보가 미갱신된 상태로 조회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정확하게 캐치하지 못한 케이스가 종종 있었습니다.
→ 딜 하위의 임베디드 상품 정보를 활용하지 않는 방향으로 변경하여 대응했고, 성능도 중요하지만 복잡한 로직에서는 로직을 단순하게 가져가는 것도 좋은 방향이라고 생각했습니다.
2. 예상치 못한 데이터 급증
1-2분 단위 갱신 딜 정보 → 10분 간의 갱신 지연된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최초 상용 배포 직후까지 상용 수집 딜 개수는 16만 건이었고 분 단위 수집 배치 속도에 문제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이후 37만 건으로 급증한 데이터로 인해 수집 배치 시간이 10분까지 늘어났고 그 동안 딜 정보는 갱신되지 않아 미노출 되었던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 해결을 위해, 수집과 적재 처리 시 멀티스레딩 방식으로 변경하여 처리 속도를 높였고
하나의 배치로 수집했던 배치의 구분점을 찾아 두 개의 배치로 나누고 각각의 토픽(Topic)으로 메시징 처리되도록 분리하였습니다.
처리 성능을 올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을 동원해 해결했습니다.
3. 복잡한 롤백 플랜
최초 상용 테스트 기간에 여러 상황에 대비한 롤백 플랜을 만들고자 하는 생각에 상황별 대응 가능한 롤백 플랜으로 만들었습니다.
- 2단계까지 단계별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구성
- 롤백 장치 4개를 삽입하여 원하는 부분만 롤백할 수 있도록 구성
- 롤백 장치를 조정하면 직접 데이터 Delete 작업이 필요 하지만, 유연한 롤백 플랜이라고 생각했던 방식이 실제 긴박한 이슈라이징 상황에 어떤 단계로 돌아가야 하는지 오히려 혼란이 되었습니다
→ 이후, 롤백 장치 개수는 최소한으로, 롤백 단계는 1단계로 줄이고 롤백 장치 조정 이외 추가 작업은 모두 제거했습니다.
앞으로 롤백플랜은 가능한 심플하게 만들고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롤백 단계도 최소한으로 줄이는 것이 더 좋은 방향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4. Validation 대상 선정의 빈틈
초기 MongoDB에 적재된 데이터 대상으로만 Validator를 구축하고 검증 진행을 했습니다.
이 방법은 구축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로직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캐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 validation 대상을 5분, 10분, 20분 단위로 스케줄러를 생성하여 주기적으로 최종 API의 응답 결과를 비교하는 방향으로 수정되었습니다
새로 구축된 데이터 검증도 중요하지만,
결국 최종적으로 영향이 가는 API 응답 결과를 검증하는 것이 더 우선으로 보아야 모든 문제를 체크할 수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결과 및 개선 사항
- 프로젝트 결과
- MongoDB 적용으로 오라클 커넥션이 제거되어 대량 트래픽에서 API 응답 지연이 크게 개선되었습니다.
- 딜 갱신 속도가 빨라져 행사 기간 중 급격한 데이터 증가에도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Oracle 의존성이 제거되었습니다.
-
OracleDB와 mongoDB 모두 확인해야 했던 디버깅 지점이 MongoDB로 단순화되었습니다.
이로서, 이슈 대응이 편해졌고, 요구사항에 대한 기민한 대응도 가능해졌습니다.
마치며…
- 추가 개선 포인트와 향후 계획
- 최초 데이터 적재 이후 갱신이 필요 없는 필드와 지속적인 갱신이 필요한 필드를 구분하면 갱신에 필요한 리소스를 줄여 더 가벼워질 수 있음
- 이어서 향후 Event 기반의 CDC Platform인 카시타(Casita) 에서 딜 정보를 받아오는 방식으로 전환한다면 딜 수집 리소스도 줄일 수 있음
- 상품 정보와 딜 정보를 로직상 완전히 분리되도록 리팩토링하면 유지 보수성을 더 높일 수 있음
현재는 안정적인 운영이 이루어지는지 모니터링하고 있는 중이고
조만간 롤백을 위해 만들어두었던 코드 및 기타 AS-IS 코드를 삭제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프로젝트 진행 간 생긴 지저분해진 코드 정리와 개선 포인트의 진행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 느낀점
이번 회고 글에 넣기에는 너무 소소했던 삽질부터
실제 상용 환경에서 겪은 큰 이슈들까지 많은 시행착오를 통해 이전보다 더 단단해진 느낌입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평소 스스로 꼼꼼한 편이라고 생각했던 저는, 가끔 놓치는 부분들이 분명히 존재했고
작업 흐름과 필요한 정보를 알고 있지만,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할 줄 몰랐던 상황들이 있었습니다.
특히 복잡하고 깊은 고민이 필요한 부분을 쉽게 해결하지 못하고 혼자 고민만 하고 있었습니다.
이러한 부족한 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앞으로 프로젝트 진행 상황과 내용을 단계별로 메모하여 주기적으로 정리하려고 합니다.
크고 복잡한 문제는 작게 쪼개어 분할하여 해결하고, 이렇게 간결한 내용들이 이어져 전체적인 플로우가 만들어지도록 해야겠다고 느꼈습니다.
다행히도 프로젝트 진행 간, 11번가의 일을 위해서는 자기의 시간을 아끼지 않고 너나 할 것 없이 적극적으로 도움을 주고 싶어 하시는 분들이 많았기에
어려운 상황들을 하나씩 헤쳐나갈 수 있어 뿌듯함과 동료애를 느낄 수 있었고,
앞으로 저도 어려운 상황에 다른 분들에게 적극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느꼈던 바를 발판 삼아, 앞으로도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개선작업에 많은 도움을 주신 손지성, 반태형님 감사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